본문 바로가기

교육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론의 구체적 접근(우리나라 교육현실을 바탕으로)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학교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두 입장인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론 중 어느 것이 맞고 틀리 다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실제 교육 장면을 살펴보았을 때 두 이론에서 주장하는 내용이 모두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두 이론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활용하여 학교교육이 어떻게 각 개인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지 날카롭게 파악하고 학교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제 기능을 다 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하위 이론을 따로 생각하지 않고 종합하여 다루도록 하겠으며 앞에서 이미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학문적 이론 측면을 살펴보았으므로 이제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에 비추어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이론 교육의 이론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우선 이론에 접근 하는 방법을 논하고자 하며, 그 접근 방법은 사회학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사회학의 접근방법부터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학적 접근 방법은 크게 거시적 접근방법과 미시적 접근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적 접근 방법의 사회학적 근원을 제공한 학자로는 뒤르켐(Emile. Durkheim)을 들 수 있는데 그는 구성원이 개인들의 합을 초월한 하나의 실체(reality)라고 말하며 사회의 성격이 개인의 행동과 사고에 영향을 주므로 개인은 사회의 피동적인 존재라고 주장했다. 즉, 사회를 실체로 보는 견해를 ‘사회실체론(socialrealism)’이라고 하며, 이 견해를 가지고 사회를 사회 그 자체로 파악하는 접근법을 ‘거시적 접근법(macro approach)..
교육의 개념 정의 교육이란 용어는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쓰지만 정작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선뜻 명확하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교육이라는 개념이 차지하는 범위가 한정적이라기보다는 상당히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항상 마주치는 질문인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가 단순하지 않듯이 교육의 개념 또한 단순한 문제는 아니다. 교육은 삶이란 문제와 상당히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삶이 시작되듯이 교육 또한 태어나면서 아니 태교라는 말도 있듯이 태어나기 이전 모태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삶이 인간이 겪는 모든 시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듯이 교육 또한 인간이 살아 숨 쉬는 한 끊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활동이다. 어찌 보면 인간의 삶이란 끊임없는 교육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겠다..
對話 세기를 넘어서 ‘원로 교육학자와의 대담’ (정범모 교수 인터뷰) 정범모 교수는 아이들에게 세계를 탐색하고 배울 수 있는 노는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하며, 체벌은 일시적 효과에만 그치고 부작용만 일으키므로 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교육이 변화해야할 점에 대해서는 교과과정을 줄이고 심층적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하며 교육은 수렴적 사고보다는 창의력을 기르는 발산적 사고를 중요시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학교와 가정 외에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매스미디어와 사회지도층을 들면서 그중 사회지도층의 삶은 사람들에게 절대적 영향을 미치므로 권위의식과 협잡을 버리고 그들 중 지도자의 자격을 갖춘 지도자가 다른 지도자들을 간절히 설득하면서 단순한 결재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얘기하고 이끌어 가는 제 기능을 다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